디지털 유산 관리자 지정 방법 및 유의점
우리의 삶은 점점 더 온라인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은행 계좌, SNS, 유튜브 수익, 블로그 콘텐츠, 클라우드 사진, 이메일…
죽은 뒤에도 남겨지는 이 수많은 디지털 자산은 이제 ‘디지털 유산’이라 불리며, 가족이나 지정된 사람만이 접근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법적, 기술적 권리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전에 이에 대한 준비를 하지 않기 때문에 사망 후 가족이 아무것도 하지 못한 채 디지털 자산을 방치하거나, 오히려 법적 분쟁에 휘말리는 일이 생기곤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려면 바로 ‘디지털 유산 관리자’를 지정해두는 일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디지털 유산 관리자 지정이란 무엇인가?
디지털 유산 관리자(Digital Legacy Contact)는 사망자의 디지털 자산(계정, 콘텐츠, 데이터 등)에 접근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공식 지정인입니다.
이는 생전에 본인이 지정해야 하며, 지정하지 않을 경우 사망 이후에도 가족이 관련 자료에 접근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국내법상 아직 디지털 유산에 대한 명확한 상속 규정은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에, 플랫폼 자체 기능을 활용해 관리자를 지정하는 것이 현재로선 최선의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자산이 디지털 유산으로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아이클라우드에 저장된 사진, 문서
- 유튜브 채널과 수익
- 블로그와 광고 계정
- SNS 계정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 온라인 은행 정보 및 전자지갑
- NFT, 암호화폐 지갑 등
이러한 자산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으면 삭제되거나 악용될 수 있으며, 특히 금전적 가치가 있는 디지털 자산은 분쟁의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주요 플랫폼별 디지털 유산 관리자 지정 방법
각 플랫폼에서는 디지털 유산 관리자 지정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플랫폼별로 절차가 다르기 때문에 주의 깊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pple (아이폰/아이패드/iCloud)
애플은 iOS 15.2 이상부터 ‘디지털 유산’ 기능을 도입하여 계정 사용자가 사망한 뒤 유산 관리자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습니다.
설정 방법:
-아이폰의 [설정] > [사용자 이름] > [로그인 및 보안] > [유산 관리자]
-유산 관리자 추가 클릭 후, 연락처에서 지정
-인증코드(PDF 파일)를 보관하고, 사망 시 사망증명서와 함께 제출하면 접근 가능
-Samsung
삼성 계정에서도 디지털 유산 관리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설정 방법:
-삼성 디지털 유산 전용 페이지(https://digital-legacy.samsung.com)에서 등록
-유산 관리자 지정 후 PDF 접근 코드 발급
-유가족이 사망증명서와 함께 제출해야만 자산 확인 가능
- Meta (페이스북)
페이스북은 오래전부터 ‘기념계정 관리자’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설정 방법:
-페이스북 > [설정] > [개인정보] > [기념 계정 설정]
-지정된 관리자가 사망 후 계정을 기념 계정으로 전환하거나 삭제 가능
-사진 및 게시글 백업도 가능
참고: 인스타그램은 별도 기념 계정 관리 기능은 없지만, 사망 증명서를 제출하면 삭제 요청이 가능합니다.
디지털 유산 관리자 지정 시 유의해야 할 4가지
디지털 유산 관리자 지정을 단순히 '지정만 하면 끝나는 절차'로 여겨서는 안 됩니다. 실제 설정 시 다음의 사항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법적 문서와 연계 필요
디지털 유산 관리자 지정은 가능한 한 유언장 또는 유서에 명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망 후 가족 간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공증을 받거나 변호사를 통한 법적 문서와 함께 보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접근 권한의 범위 명확화
유산 관리자가 모든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특정 범위(예: 사진만, 블로그만)**로 제한을 둘 필요가 있습니다.
일부 플랫폼에서는 이러한 세부 설정이 가능하니, 꼭 확인하세요.
-인증코드와 서류의 안전한 보관
플랫폼별로 유산 관리자 지정 시 제공되는 ‘접근 인증 코드’ 또는 ‘보안 키’는 종이로 출력하여 보관해야 합니다.
디지털 파일만 남기면 추후 유족이 접근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지정자와의 충분한 사전 소통
가장 중요한 점은, 실제로 유산을 맡길 사람과 충분한 소통을 거쳐야 한다는 것입니다.
지정자가 본인의 역할을 모른다면, 사망 이후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유산 관리자 제도의 미래와 법적 대응 방향
현재 한국에는 디지털 유산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법안이 없습니다.
현행 민법과 정보통신망법, 개인정보 보호법의 범위 내에서 디지털 자산의 일부만 보호할 뿐입니다.
하지만 해외, 특히 미국 캘리포니아 주나 유럽 국가들에서는 이미 디지털 유산에 대한 상속법이 존재하며, 상속자의 권한, 범위, 절차가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습니다.
한국 역시 2024년부터 관련 입법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으며, 향후 ‘디지털 유산 상속법’이 제정된다면, 더 강력한 권리 보호와 분쟁 방지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의 발달로 인해 NFT, 암호화폐 등 디지털 자산의 상속이 본격화되고 있는 만큼, 향후에는 ‘디지털 상속 전문 변호사’나 ‘디지털 유산 관리자 서비스’ 같은 새로운 직업과 산업도 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오늘이 가장 빠른 날입니다
디지털 유산 관리자 지정은 나의 사후를 위한, 동시에 가족을 위한 최고의 배려입니다.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윤리적 책임이자 실무적 준비입니다.
오늘 이 글을 읽은 지금,
아이폰의 유산 관리자, 페이스북의 기념 계정, 삼성 계정의 디지털 유산 메뉴로 한 번 들어가 보세요.
가족에게는 작지만 가장 큰 선물이 될 수 있습니다.